본문 바로가기
일상 알짜정보

호산구 수치가 높으면, 이런 증상이?

by ̱ 2024. 2. 9.

호산구라는 것은 백혈구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죠. 신체의 면역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해주죠. 하지만 이는 수치가 너무 높게 나타날 때 오히려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는데 호산구 수치가 높으면 무엇이 문제가 될지 같이 보시죠.


호산구가 무엇일까?

호산구라는 것은 백혈구 중 하나로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주로 알레르기 반응이나 감염으로 인해서 발생하게 되는데 백혈구는 흔히 외부의 위험요소로부터 우리 몸을 지키는 역할을 하죠.

이때 호산구는 알레르기 반응이나 감염에 반응하게 되면서 활성화되어 염증 반응을 일으키고 원인이 되는 것을 감지하여 공격을 하는 역할을 해내게 됩니다.

다른 이름으로 호산성 과립구로도 불리는데 생화학적 물질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 물질들을 분비하고 염증 반응을 일으키게 됩니다. 다만 수치가 너무 높으면 염증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과할 수 있죠.


호산구 수치란?

이는 특정 피부의 혈액 속에 있는 호산구의 수를 측정하는 수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백혈수 분포율이라고 할 수 있는 검사를 통해서 이를 확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이 검사는 백혈구 중에서도 호산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게 됩니다. 성인을 기준으로 봤을 때 호산구 수치는 백혈구의 0~5% 정도로 알려져 있죠. 이는 건강 상태나 연령, 기타 요인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호산구 수치가 높으면 보통 알레르기 반응이나 감염, 기타 특정 질환의 증상으로도 나타날 수 있으며 낮을 경우 일부 질병이나 약물 복용 등에 의해 증상이 자타날 수 있죠.

▶온몸 두드러기 가려움, 뜨거운 물이?


높다면 어떤 증상이 있나?

이는 면역 시스템과 관련된 것으로 다양한 증상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피부의 증상으로 두드러기나 홍반, 가려움증 등 피부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죠.

그리고 호흡기 증상으로는 기침이나 가슴이 답답하고 호흡 곤란이나 코막힘 등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소화기 관련 증상으로도 나타납니다. 복통이나 설사, 구토 등 증상이 있을 수 있죠.

그리고 신경계 증상으로 두통이나 경련 등 신경계에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피로감이나 불면 등 일반적인 증상으로도 나타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백혈구는 어떤 것이 있나?

이는 호중구, 림프구, 호산구, 호염구, 단핵구가 있습니다. 호중구는 세균 침입 시 가장 먼저 반응하는 것으로 백혈구의 40~70%를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단핵구는 비교적 적은 편으로 4~10% 정도를 차지하는데 이는 호중구처럼 식균작용을 합니다. 스트레스를 오래 받게 된다면 이 수치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그리고 림프구는 20~50% 정도로 바이러스 감염에 대응하죠.

호산구는 상당히 설명을 많이 드렸으나 호염구의 설명이 필요하겠죠. 호염주는 0.2% 정도로 적은 비중이지만 꽃가루나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경우 그 수치가 증가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호산구 수치 어떻게 줄이나?

호산구 수치가 높으신 상태라면 그 원인이 되는 상태나 질환을 되도록 개선해 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수치를 직접 줄이기보단 그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죠.

알레르기 반응이나 감염이 원인이 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 진단을 통해 개선하는 것이 좋겠죠. 그리고 그 과정에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균형 잡혀있는 식단을 지켜주시면서 수면 또한 충분히 취하면서 꾸준히 운동을 해주는 것이 우리 신체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를 개선하고 유지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댓글